실무

[4대보험] 자격취득신고 쉽게 하는법

보배진스 2023. 6. 23. 13:20

작년 이직 후 처음 접하는 인사, 급여 업무에 멘붕이... 왔었습니다.

연말, 연초를 어떻게 보냈는지 모를 정도로 일에 치여서 생활하느라

여유가 생긴 요즘에서야 업무 방법을 정리해서 남기고

인사, 급여업무를 처음 접하는 초보사원, 개인사업을 하시는 소규모 사업장의 대표님들께 도움이 되었으면 해서

포스팅하기로 마음 먹었습니다^^

천천히 자세히~ 설명해 드릴테니 함께 가 봅시다!

근로자가 입사하게되면 4대보험을 가입하는데 신고기한이 있으니 꼭 기한 내 신고해 주는게 좋습니다.

 

 

건강보험공단 EDI 서비스 (https://edi.nhis.or.kr/) 접속

 

https://edi.nhis.or.kr

 

건강보험공단 EDI포털

 

edi.nhis.or.kr

4대보험 정보연계센터, 고용산재토탈서비스, KT사회보험EDI 등

취득업무는 다양한 사이트에서 처리가능하지만 저는 건강보험 EDI가 가장 편리하더라구요~

 

② 사업자 로그인

 

 

③ 상단의 "전체 서식"

 

 

직장가입자 자격 취득 신고서(피부양자 포함) 선택

 

 

신청구분 / 성명 / 주민등록번호 입력

 

국민연금 : 만 60세 생일지나면 가입불가

취득부호: 일반근로자는 "18세이상 당연취득" / 그 외 해당 취득부호 선택

취득월 납부여부 : 1일 입사자 - 1 / 2일~말일 입사자 - 2

 

 

건강보험 : 취득부호: 일반근로자는 "00 최초취득" / 그 외 해당 취득부호 선택

피부양자 있으면 "있음"으로 신청 가능

고용,산재보험 : 1주 소정근로시간 , 직종부호 검색 후 입력, 계약직일 경우 "계약종료월" 입력

 

보수월액, 취득일등 국민연금, 건강보험 항목에 기입력된 경우에는 하단 항목에 자동으로 입력되어 보여지니

참고하시구요

 

입력을 다 하셨으면

⑥ 하단 "대상자등록" 후 리스트에 대상자가 보이면 상단 "신고(전송)/신청"

 

⑦마지막으로 처리 결과 조회

 

 

 

국민연금과 건강보험은 보통 당일 처리가 많고

고용, 산재는 익일 처리가 많으니 결과는 익일에 조회하시면 번거롭지 않더라구요^^

취득 상실자가 많은 달은 개별입력보다 엑셀파일로 신고 하는게 간편하니

다음 포스팅은 4대보험 자격취득과 상실 엑셀파일편으로 포스팅 예정입니다!

인사급여의 달인이 될 때까지~ 모두 파이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