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무

[4대보험] 자격상실 신고 쉽게 하는 법

보배진스 2023. 6. 23. 13:29

안녕하세요~

하루가 다르게 무더워지는 바람과 쨍쨍 내리쬐는 태양빛~

어느덧 여름휴가를 기다리는 시기가 다가왔습니다^^

오늘은 직원의 퇴사 시 따라오는 필수 업무!! 4대보험 상실 신고~

천천히 잘 따라오세요~~

 


건강보험공단 EDI 서비스 (https://edi.nhis.or.kr/) 접속

 

https://edi.nhis.or.kr/

 

 

건강보험공단 EDI포털

 

edi.nhis.or.kr

 

 

② 사업자 로그인

 

 

③ 상단의 "전체 서식"

 

 

 

 

"직장가입자 자격 상실 신고서" 선택

 

신청 구분 / 성명 / 주민등록번호 / 연락처 입력

상실일자는 퇴사일 +1일로 신고 잊지마세요~^^

더보기

상실 일자 : 퇴사일 +1일

예시) 23년 5월 31일 ---> 상실일 23년 6월 1일

 

국민연금 : 만 60세가 초과되어 국민연금 납입이 불필요한 분은 체크 표시 해제.

상실 부호: 일반 근로자는 " 3 사용관계 종료" / 그 외 해당 취득 부호 선택

초일 취득·당월 상실자 납부 여부 : 1일 입사 후 당월 20일 퇴사 시 "희망" / 그 외 "미희망"

 

 

건강보험 : 상실 부호: 일반적으로 " 01 퇴직" / 그 외 해당 취득 부호 선택

해당 연도 연간 보수총액 : 비과세 항목 제외

근무 월수 : 예시) 3.15일 입사~6.10일 퇴사 --> 4개월로 입력

전년도 보수총액, 근무 월수 입력

 

 

 

 

고용, 산재보험 : 상실 사유 코드 : 주로 사용하는 코드가

                               개인 사정 - 11 / 권고사직 - 23 / 계약만료 - 32 그 외는 해당 사유 선택

                               상실 사유 구체적 사유, 해당 연도, 전년도 보수총액 입력

 

 

 

⑥ 하단 "대상자 등록" > 팝업창 "확인"

계약만료, 권고사직 등 이직확인서 등록 대상자는 팝업창 등록 메시지에서 "확인"

 

 

[이직확인서 등록 방법]

"자격 취득일(입사일) 입력" 후 엔터-- > 좌측 피보험 단위 기간이 산정되고 --> 우측 하단에 임금 기간별로 "기본급+기타 수당+상여금+연차수당" 입력하면 1일 통상임금이 자동으로 계산(퇴직금 산정내역을 입력) --> 상단 "입력 완료".

 

 

 

 

⑥ 하단 "대상자 등록" 후 리스트에 대상자가 보이면 상단 "신고(전송)/신청"

처리 결과 조회

 

내가 신고한 건수와 처리결과 정상 내역에 보이는 숫자가 일치하면 처리 완료!

반송건은 처리결과 반송 내역에 빨간색으로 표시되고

숫자를 더블클릭하면 처리 세부 내역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퇴사자 급여에 정산금액을 반영

처리결과 조회에서 출력을 하면 건강보험 처리 내역을 조회할 수 있다.

정산금액은 50% 회사 분 + 50% 근로자 부담금

+금액은 징수 -금액은 환급하여 처리하면 끝!

처음은 어렵지만 반복하시다 보면 눈 감고도 하는 업무! ^^

오늘도 고생하셨습니다.